• 돌아가기
  • 아래로
  • 위로
  • 목록
  • 댓글
기존 문서

폴리아모리를 아시나요?

DPK고양이 DPK고양이 15

2

0

 

‘많음’을 뜻하는 그리스어 ‘폴리’(poly)와 ‘사랑’을 뜻하는 라틴어 ‘아모르’(amor)의 합성어인 폴리아모리는 서로를 독점하지 않는 다자간의 사랑을 가리킨다. 파트너와의 합의가 전제된다는 점에서 ‘양다리’나 ‘스와핑’과는 관계의 양상이 전혀 다르다. 동의 없는 폴리아모리는 성립되지 않으며, 어떤 개인도 관계에서 일방적으로 우위나 독점을 주장할 수 없다. - 출처 : 한겨레 “두 사람을 동시에 사귈 생각 없니?” 그날부터 ‘열린 연애’가 시작됐다 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678122.html

얼핏 보면 외도로 보일 수 있지만 폴리아모리는 상호 간 합의라는 점이 다릅니다. 기존의 1대 1로만 한정된 연애의 범위를 다자로 확장하는 것에 가깝죠.

폴리아모리의 반대말은 모노가미입니다. 폴리아모리 성향을 가진 사람은 모노가미성향을 가진 사람에게 다자연애를 강요하지 않고 양자연애에 맞춥니다. 

몇 폴리아모리성향을 가지신 분들은 결혼 제도의 대폭 완화를 추구합니다. 급진적 성향 분들은 아예 결혼이 관계를 제한한다고 해서 사실상의 철폐를 주장합니다.

e730cb819877e5ccf906a5da7654742a.jpg폴리아모리의 형태는 매우 다양합니다. 비대칭적일수도, 상호 간 전부 연결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보통 기존의 사회적 관성으로 인한 3~4명 형태가 대부분입니다.

 

폴리아모리 구성원은 범성애(성별에 상관없이 사람에게 성적 끌림을 느끼는 것) 성향을 띄는 것이 가장 이상적입니다. 성별에 구애받는 성애(이성애가 대표적)는 연결의 경우의 수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

EyIXSfUUcAYULXC.jpeg

(상기한 내용을 적용했을 때 형성될 수 있는 폴리아모리 관계)

 

현재로써는 폴리아모리는 매우 이질적이면서 사회적 및 윤리적으로 비난을 받는 성향입니다. 하지만 사랑하는 사람이 여러명이고 서로에게 심리적 위안을 갖는 관계가 유익하게 늘어날 수 있는게 증명되면 폴리아모리는 새로운 연애의 시각에 큰 반향을 일으킬 수 있는 개념을 제시할 지도 모릅니다.

신고공유스크랩
0
댓글 등록
취소 댓글 등록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삭제하시겠습니까?

목록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