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위명과 지명이 일치하지 않은 사례
경기도 양주시 남면: 양주시 북부에 위치. 구 적성군 남면이였다가 그대로 양주로 편입. 동두천 생활권
경기도 연천군 중면: 연천군 북부에 위치. 과거 북면에서 중면으로 개칭. 6.25 전쟁 이후 면 대부분이 민통선에 위치하여 실질적으로 거주하는 인구 얼마 없음. 구 삭녕군 삭녕면이 중면으로 편입되어 현재에 이름.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신동읍: 정선군 남서부에 위치. 과거 평창군 동면이였다가 정선군에 편입. 영월 생활권.
강원도 철원군 서면: 와수리로 유명한 동네. 과거 김화군 서면. 6.25 전쟁으로 남북이 분리되면서 휴전성 이남의 구 김화군 지역을 철원으로 편입. 그로 인해 철원과 김화 간의 지역감정이 상당하다고함
인천광역시 중구, 동구: 과거 인천시청이 중구에 있었을땐 동부가 맞았는데 시청을 남동구로 옮기고 지역이 확장되면서 서부에 위치하게됨.
인천광역시 서구: 위에 중구 동구보다도 오른쪽에 위치.
부산광역시 서구 중구 동구/남구: 남구가 동구보다 동쪽에 위치함. 인천과 같은 이유로 이렇게 됨. 북구는 서구랑 붙어있었으나 구포 이남은 사상구로 분리됨
대전광역시 중구: 동부에 있으나 시가지 확장으로 서구로 시청 이전. 위 사례들과는 비슷하면서도 다른 사례.
광주광역시 서구: 대전과 비슷한 사례. 광산군이 광주로 편입되어 시가지 확장. 광주광역시청 위치.
충청북도/충청남도: 서도와 동도로 나뉘는게 맞는데...
그 외에도 더 있으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