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돌아가기
  • 아래로
  • 위로
  • 목록
  • 댓글
정치

영어 위키피디아에서는 선거제도를 크게 이렇게 분류하네요.

보통선거 86

1

1

영어 위키피디아에서는 선거제도를 크게 이렇게 분류하네요. 

 

단수 다수대표제 (Majoritarian system, single winner) 

복수 다수대표제 (Majoritarian system, multi winner)

준비례대표제 (Semi-proportional system)

비례대표제 (Proportional system)

혼합형 시스템 (Mixed system)

 

단수 다수대표제: Majoritarian을 다수대표제라고 합니다. Single이라 제가 임의로 단수라고 번역했습니다. 한 선거구에서 1명만 뽑습니다. 여기에는 단순다수대표제(FPTP)(ex 한국, 일본하원, 미국, 영국등 지역구 소선거구제), 결선투표제(Two-Round, RunOff)(ex 프랑스 결선투표제), 즉석결선투표제(Instant Runoff, 대안투표제(alternative), 선호투표제)등이 있습니다. 단순다수대표제, 결선투표제, 선호투표제는 찾으면 금방나오니 굳이 적지 않겠습니다.

 

복수 다수대표제: multi라서 제가 임의로 복수라고 번역했습니다. 한 선거구에서 여려명을 뽑습니다. 블록투표(Block Voting), 정당블록투표가(Party Block Voting) 있습니다. 유권자는 선거구에서 당선되는 수만큼 투표할 수 있습니다. 사실상 한당이(또는 비슷한 성향의 후보가) 모든 후보를 배출하게 됩니다.

 

준비례대표제: semi라서 번역기에는 반半으로 뜹니다만, 반비례 하면 모두 비례.반비례를 생각하므로... 용어의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그래서 준準으로 썻습니다. (지금 한국에서 하고 있는 50%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라고 합니다.) 제가 이전글에서 썻던 제한투표제(LV, 연기비이양식투표제), 단기비이양식투표제가(SNTV)(일본 상원, 한국 기초의회) 여기에 포함됩니다. 중대선거구제가 여기에 포함된다고 보면 됩니다.

 

비례대표제: 주로 유럽에서 사용됩니다. 정당명부(한국 비례대표제등), 개방명부 방식이 있습니다. STV(단기이양식투표제, 선호투표제를 비례대표제에 대입한것) 또한 여기에 포함됩니다. 

 

혼합형 시스템: 지역구 + 비례대표 제도입니다. 병립형과(Mixed Member Majoritarian) 연동형이(Mixed Member Proportional) 있습니다. 또 보상(Compensatory) 이라는것도 있습니다. 이건 1당에 비례의석을 더 주는것입니다. 옛날에 한국에서 지역구 의석 많은당에 비례대표(당시에는 전구구)의석을 많이줬습니다. 그 방식입니다.

신고공유스크랩
1
2
선거제도 보다보면 각 나라 상황에 따라 달라져서 구분은 하지만 진짜 복잡 다양 하더라고요
24.06.11. 11:31
댓글 등록
취소 댓글 등록

cmt alert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삭제하시겠습니까?

목록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