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돌아가기
  • 아래로
  • 위로
  • 목록
  • 댓글
기존 문서

지식의 습득이 쉬워지면 깊이도 얕아집니다

폐제윤석열 104

0

7
되게 꼰대스러운 말일수도 있는데 저는 어떤 지식을 어렵게 얻을수록 그 지식에 더욱 더 깊은 통찰력을 지닐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입니다.


무슨 뜻이냐면 어떤 주제로 단순히 강의를 통해 아는 것과 그 강의의 참고자료가 된 책이나 논문을 일일이 뒤져서 얻는 것은 같은 내용일지라도 그 깊이가 달라지게 된다는 것이지요.

신고공유스크랩
7
강의도 단순히 대중강사에게서 듣는 것과, 한 분야에 전문성을 가진 교수나 학자에게 듣는 것과 차이가 있죠. 


물론 전 대중이 한 분야에 흥미를 갖기 위해선 대중강사에게 강의를 듣는 과정이 꼭 필요하다고 봅니다. 처음부터 교수가 하는 말 들으면 재미 하나도 없거든요

22.06.05. 15:30
폐제윤석열 글쓴이
1
문통최고
참 어려운 부분이 내용을 간단하게 만들수록 원래 설명하려던 것에서 벗어나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대중들에게 다른 오해를 심어줄 가능성이 크고요. 당장 제가 종사하는 분야의 경우 매우 기초적인 설명 조차도 의도적으로 수식으로 써놓았습니다. 자연어가 만들어내는 오해 때문에요.
22.06.05. 15:32
폐제윤석열
근데 대중이 어떤 학문에 흥미를 갖게 만들려면 가벼운 내용부터 시작해야 한다는게 참.. 처음부터 수식이나, 어려운 학문적 용어를 뱉어내면 사람들은 기피하거든요.
22.06.05. 15:33
폐제윤석열 글쓴이
1
문통최고
제가 종사하는 부분은 인간의 직관과 동떨어진 게 대부분이고 핵심이라 참 어렵네요 ㅠㅠ 사실 전공하는 저 조차도 혼란스러울 때가 많습니다.
22.06.05. 15:38
폐제윤석열
과거 댓글을 살펴보니 물리학과 대학원생이시군요... 이해합니다. 물리를 대중에게 쉽게 알려주기란 참 어렵죠.. 제가 전공하는 역사나 경제는 그나마 대중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지만..
22.06.05. 15:40
문통최고
과학이나 수학같은 이과 과목도 인생에서 참 중요한 과목들인데, 어릴 때부터 너무 주입식으로 교육받았고 내용도 너무 어려워서 대중에게 다가가기가 참 힘들죠..
22.06.05. 15:41
폐제윤석열
그게 참 어려운거죠. 그래서 과학커뮤니케이터들이
필요한 이유라고 생각이 드네요
22.06.05. 15:43
댓글 등록
취소 댓글 등록

cmt alert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삭제하시겠습니까?

목록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