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 헌법재판소 판결문 (폴리아모리 금지 위헌)
※ 믿으면 안됩니다
사건번호: 20nn헌마1123
선고일: 20nn년 11월 23일
주문
민법 제810조, 민법 제812조, 형법 제245조는 헌법에 위반된다.
가. 사건의 개요
청구인들은 다자 간 혼인을 희망하는 성인들로, 현행 법률이 일부일처제만을 법적으로 인정함에 따라 자신들의 혼인 자유 및 평등권이 침해되고 있다고 주장하며 위헌심판을 제청하였다. 청구인들은 민법과 형법 조항이 특정한 결혼 형태만을 인정하고 다자혼을 원천적으로 금지하는 것이 헌법상 보장된 기본권을 침해한다고 주장하였다.
나. 심판의 대상
본 사건의 심판 대상은 민법 제810조, 민법 제812조, 형법 제245조로, 해당 조항들은 일부일처제의 법적 원칙을 유지하며, 혼인의 단일성과 가족제도의 안정을 보장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법률 조항이 헌법이 보장하는 기본권을 침해하는지 여부가 본 심판에서 다루어질 핵심적인 문제이다.
다. 판단
1. 혼인의 자유 및 인간의 존엄성 침해 여부
헌법 제10조는 모든 국민은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가지며, 행복을 추구할 권리를 가진다고 규정하고 있다. 또한, 헌법 제36조 제1항은 혼인은 개인의 존엄과 양성의 평등을 기초로 성립되고 유지되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현대 사회에서 결혼은 단순히 전통적인 가족 형태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당사자 간의 합의에 기초한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일부일처제를 법적으로 강제하는 것은 개인이 자신의 신념과 가치관에 따라 결혼 생활을 설계할 자유를 침해하며, 이는 헌법이 보장하는 자기결정권 및 인간의 존엄성에 위배될 가능성이 크다.
2. 평등권 침해 여부
헌법 제11조는 모든 국민은 법 앞에 평등하다고 규정하며, 성별, 종교, 사회적 신분 등에 따른 차별을 금지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법제는 일부일처제를 강제함으로써 다자 간 결혼을 원하는 사람들만 법적 혼인의 보호에서 배제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차별적 법률 규정은 합리적 근거 없이 특정한 혼인 형태를 차별하는 것으로, 평등권을 침해하는 위헌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헌법이 보장하는 평등의 원칙에 비추어 볼 때, 특정한 혼인 형태만을 배제하는 것은 정당화될 수 없다.
3. 공공질서 및 가족제도 보호의 필요성
국가는 가족제도를 보호하고 공공질서를 유지할 의무가 있으나, 단순히 전통적 가치관을 이유로 특정한 결혼 형태를 배제하는 것이 정당화될 수 있는지는 별개의 문제이다. 여러 국가에서 다자혼을 합법적으로 인정하거나 논의하는 상황을 고려할 때, 기존 법체계의 유지가 절대적인 공익을 보장한다고 보기 어렵다.
가족제도의 보호라는 명목으로 일부일처제만을 법적으로 인정하는 것은 헌법이 보장하는 개인의 자유와 평등권을 제한하는 것으로, 국가가 개별적인 가족 형태를 강제할 정당한 이유가 부족하다.
라. 결론
민법 제810조, 민법 제812조, 형법 제245조가 일부일처제를 강제함으로써, 청구인들 및 이와 유사한 사례에 해당하는 국민들의 행복추구권 및 혼인평등권을 침해한다고 판단한다. 이에 따라, 해당 조항들은 헌법에 위반된다. 이 결정은 재판관 전원의 일치된 의견에 의한 것이며, 재판관 이음이의 아래 마.와 같은 보충의견이 있다.
마. 보충의견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댓글로 자신의 구체적인 의견을 남겨주세요!)

으아아아 헌법이다아아 ㅋㅋㅋ
목적의 정당성, 수단의 적합성, 피해의 최소성, 법익의 균형성을 모두 고려해서 위헌 판결 내려야 할 것 같은 느낌... ㅋㅋㅋㅋ
좀 더 구체적으로 보이려면, 혼인의 정의부터 출발해야 할 듯요. 혼인이란 무엇인데.... 다자 간 혼인은 이러이러한 정의이고 어쩌고 저쩌고....

이번 위헌 판단에 동의하면서도, 다음과 같은 추가적인 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목적의 정당성이 보장되지 않았다. 일부일처제를 강제하는 현행 법률은 가족제도의 안정과 공공질서 유지를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가족제도의 안정을 ‘일부일처제의 유지’와 동일시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가족의 개념과 형태는 시대에 따라 변화해 왔으며, 일부일처제만을 유일한 가족 형태로 인정해야 할 헌법적 필연성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전통적 가족 모델을 유지한다는 목적 자체가 헌법적으로 정당한지 의문이 제기된다.
둘째, 수단의 적합성이 결여되었다.. 일부일처제의 법적 강제는 가족제도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방식이 가족제도의 안정성을 보장한다고 보기 어렵다. 오히려 다자혼을 금지함으로 인해 법적 보호를 받지 못하는 가족 형태가 발생하며, 이는 사회적 불안정성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국가가 혼인의 형태를 강제함으로 인해 개인의 자기결정권을 본질적으로 침해하고 있으며, 이는 수단의 적합성을 결여한 것이다.
셋째, 피해의 최소성 원칙에 어긋난다. 기본권 제한은 불가피한 경우에 한하여 최소한의 범위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현행법은 다자혼을 원천적으로 금지함으로써 이를 원하는 사람들의 혼인 자유를 전면적으로 박탈하고 있다. 다자혼을 선택하지 않는 사람들에게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원하는 사람들에게는 선택권을 부여하는 방식도 고려될 수 있음에도, 가장 극단적인 방식인 ‘전면 금지’가 채택되었다. 따라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대체적 입법 수단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고려하지 않은 현행법은 과잉금지원칙을 위반한다.
넷째, 법익의 균형성이 상실된다. 공익과 사익의 비교 형량에서, 일부일처제 강제 규정이 보호하려는 공익은 가족제도의 안정성과 전통적 가치관 유지에 불과한 반면, 이로 인해 침해되는 사익은 개인의 혼인 자유, 평등권, 행복추구권과 같은 본질적인 기본권이다. 또한, 다자혼을 원하지 않는 사람들에게까지 이를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원하는 사람들에게 선택권을 부여하는 방식으로도 충분히 법익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법익의 균형성 면에서 현행법은 개인의 기본권을 과도하게 침해하고 있으며, 이는 헌법적으로 정당화될 수 없다.
그 외에도, 혼인의 본질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를 반영해야 한다. 헌법 제36조 제1항이 규정하는 "혼인은 개인의 존엄과 양성의 평등을 기초로 성립되고 유지되어야 한다"는 원칙은 특정한 혼인 형태를 강제하기보다는, 혼인 관계에 있는 모든 개인들의 존엄과 평등이 보장될 것을 요구하는 규정으로 해석해야 한다. 과거에는 일부일처제가 가족제도의 기본 형태로 인식되었지만, 현대 사회에서는 결혼의 의미와 가족의 형태가 다양화되었다. 이를 고려할 때, 다자혼을 원천적으로 배제하는 것은 헌법의 취지에 부합하지 않는다.
또한, 비교법적 관점에서의 고려가 필요하다. 세계적으로 일부 국가들은 다자혼을 합법적으로 인정하거나 논의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가족의 법적 보호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한국 역시 변화하는 사회적 흐름을 반영하여, 기존의 가족법 체계를 유연하게 해석하거나 개정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추가적인 논거를 바탕으로 입법부가 보다 포괄적인 가족법 개정을 논의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는 바이다.

진짜 잘 쓰셨네요. 그대로 헌재에서 판결하면 될 듯 ㅋㅋㅋㅋ


cmt ale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