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돌아가기
  • 아래로
  • 위로
  • 목록
  • 댓글
정치

'필리핀 이모님' 누가 이용하나… 73%가 월소득 900만원 이상

문통최고 문통최고 56

2

1

IMG_3061.jpeg

 

서울시 외국인 가사관리사 이용 가정 10곳 중 7곳은 월 소득이 900만원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 지역도 소득 수준이 높은 강남 3구(강남구, 서초구, 송파구)가 40%를 차지했다.

고용노동부는 이달 종료되는 '외국인 가사관리사 시범사업'의 설문조사 결과를 14일 공개했다. 설문조사는 이용가정 112가구, 가사관리사 98명이 대상이다. 지난해 11월 온라인에서 진행됐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이용 가정의 73.2%가 부부합산 월소득 900만원 이상이었다. 900만원 이상 1200만원 이하가 30.4%(34명)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은 1800만원 이상 23.2%(26명)가 높았다. 이어 600만원 이상 900만원 미만 17.9%(20명), 1200만원 이상 1500만원 미만 11.6%(13명), 600만원 미만 8.9%(10명), 1500만원 이상 1800만원 미만 8%(9명) 순이었다.

이용가정의 거주지는 강남구가 19.64%(22명)으로 가장 많았다. 서초구 13.39%(15명), 성동구 11.61%(13명), 성동구 11.61%(13명), 송파구 8.04%(9명) 등이 뒤를 이었다. 강북구, 관악구, 구로구, 도봉구, 종로구의 이용가정은 각각 1곳뿐이었다.

설문에 응답한 가정의 평균 이용시간은 주 18시간이다. 주 20시간 미만 53가구(47%), 주 20~40시간 미만 40가구(36%), 주 40시간 이상 19가구(17%)이 뒤를 이었다.

돌봄 아동 수의 경우, 2명인 가구가 54가구로 가장 많았다. 아동이 1명인 곳은 39가구, 3명인 곳은 15가구, 넷째까지 있는 곳은 1가구였다.

과거 가사관리사를 이용해 본 가구도 많았다. 81%(91가구)가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이중 이전과 비교해서 만족한다는 가구가 47%(43가구)로 가장 많았다. 만족 사유로는 가사관리사의 성실성이 35%(38가구)이 제일 높았다.
입주형 서비스에 대한 의견도 눈에 띄었다. 이용가구는 절반 이상(56%, 63가구)가 출퇴근 대신 입주형 서비스를 이용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반면, 가사관리사의 선호도 조사에서 입주형을 선호하는 가사관리사는 없었다. 한 가정에서 전일제(주 40시간) 근무를 원하는 사람이 65명(66%)으로 가장 많았다.

외국인 가사관리사가 국내 노동자와 동일하게 근로기준법을 적용 받아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조사했다. 이용 가정 중 전혀 그렇지 않다고 응답한 곳이 32%로 높았다. '그렇지 않다(25%)' 응답자와 합산하면, 이용가정 절반 가까이가 부정적으로 응답한 것이다.

외국인 가사관리사 98명도 설문조사에 응했다. 가사관리사는 30대가 83명으로 84.7%를 차지했다. 20대는 15명(15.3%)였다. 이들 중 최고령자는 39세(85년생)고, 최연소자는 25세(99년생)였다.

학력은 고졸이 35.7%(35명)으로 가장 많았다. 뒤이어 2년제 대졸 31.6%(31명), 대졸 32.7%(32명) 순이었다.

이들의 평균 근무시간은 주 39.4시간이었다. 근무시간이 적정하다고 응답한 사람이 66%(65명)으로 제일 높았다. 부족하다고 응답한 사람은 31%(30명)였다.

가사관리사의 전반적인 만족도는 높은 수준이다. 한국에서 계속 근로를 희망한다고 응답한 비중은 73%에 달한다.

고국 지인에게 가사관리사를 추천한다고 응답한 비중도 82%(80명)였다. 좋은 근무환경, 타국대비 높은 임금이 이유로 꼽혔다. 미추천 사유의 대다수는 예상보다 낮은 임금(11명)을 이유로 들었다.

한편, 고용노동부는 3월 이후 이용가격을 시간당 1만6800원으로 올릴 전망이다. 현재 1만3940원에서 시간당 2860원 오른 금액이다. 퇴직금, 유급휴일수당, 운영비 등이 반영됐다.

지난해 11월 설문조사 결과, 외국인 가사관리사 활용할 의사가 있는 상한액은 1만3700원이 71%(79가구)로 제일 높았다.

 

 

 

저출생 극복에 도움된다며? 오세훈 아저씨! 근데 뭐야 이 결과는!!

 

신고공유스크랩
1
profile image
2
있는사람들이 더하다는 말이 실감나네요 ㅋㅋㅋㅋㅋㅋ 책임은 많이져야하고 노동법 보장받으면 안되고 에잇
25.02.14. 18:23
댓글 등록
취소 댓글 등록

cmt alert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삭제하시겠습니까?

목록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