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돌아가기
  • 아래로
  • 위로
  • 목록
  • 댓글
기존 문서

노숙굴의 본질을 살리는 방향으로 가야지 시험 하나만 만들어놓고 생색내진 않았으면

알렉산드르_뷰코크 알렉산드르_뷰코크 107

5

9

노숙굴 제도는 시험만 볼줄 아는 백면서생 대신 실무를 배우고 사회경험이 있는 사람을 변호사로 양성하여 사회에 더 경쟁력 있는 많은 변호사를 내자는게 목표였음

 

근데 정반대로 시험만 볼 줄 알고 실무는 노숙굴 과목으로나 존재하며 사회경험보다 한해라도 변시 잘붙게 젊은사람들 선발하는 제도가 되어버림

 

근본적으로 사시를 대체한답시고 로스쿨 내놔놓고 정작 변호사시험은 로스쿨 졸업생만큼 붙여주지 않아서 생긴 문제임. 심지어 5수하면 더 못보게하네? 이런상황에서 대체 뭔 사회경험 실무경험이야 변시 경향 암기하고 메가로이어스 법강의나 듣지

 

의사고시처럼 일정 커트라인 넘기면 합격하도록 조정하거나/혹은 로스쿨 정원을 더 늘리거나/하다못해 방통대 로스쿨 or 로스쿨 야간과정 개설이 필요하다고 생각함

 

그거 없이 예비시험만 딸랑 개설해놓아서 예비시험에 붙으면? 변시 자격이 생기는거 좋은데, 똑같이 5수 제한임? 5수 만료되면 다시 보면 변시 자격 생기나? (물론 5탈비율 상당히 적은거 암) 근본적으로 법조인 양성의 장이 문제가 생긴 원인이 변시 형태인데 이거를 안건드리면서 시험만 여는건 그냥 생색내기에 불과하다고 봄

 

게다가 우리나라 지금 학부 법과대학이 그렇게 많다고 하기엔 힘듬. 일본은 학부에 아직도 법학부가 존재하기 때문에, 심지어 로스쿨이 있는 대학에도 법학대학이 존재하기 때문에 학부 공부로 예비시험 붙는 경우도 존재할 수 있음.

 

반면 우리나라는 로스쿨을 가진 학교는 원칙적으로 법학과를 개설할 수 없음. 그런데 이 학교들이 큰 법학과를 가지고 있던 학교들이고. 물론 다양한 방식으로 학부에서 법공부할 학과를 만들어두긴 했지만(나도 듣고있으니), 그렇지 않은 학교가 많다는 점에서 1. 법학부 개설 허가 or 2. 이미 메가스터디나 해커스가 진출해둔 법과목 사교육 시장 중 하나를 선택할 수 밖에 없음. 1번은 근데 학교들이 할라나... 하겠지 돈은 되니까

 

일본의 사례를 답습할지는 모르겠지만 걍 로스쿨 붙어서 공부좀 하다가 예비시험 붙어서 탈출하고 변시를 본다던가 하게되면 이거는 로스쿨 제도의 존재의의 자체가 사라지는건데... 뭐 로스쿨을 없애자 하면 그건 다른 문제고 나는 찬반 다 논리는 있다고 봄

 

그래서 법안이 개수되는 과정 더 잘 지켜봐야 알겠지만 1. 내가 보기에 본질적으로 노숙굴이 이꼬라지 난건 변시 합격률의 문제가 7할은 차지한다 2. 예비시험 만들어놓고 변시 안건드리면 고시낭인 시즌 2 찍을 뿐이다 3. 노숙굴 옹호 아님 근데 이거 만들었다고 근본적 문제가 해결될것도 아니라는 점에서(아니 애초에 노숙굴의 학비 문제나 시간 문제는 사시도 공유하는 문제고) 걍 높은양반들이 계층사다리 만들어둔척 하는게 되지 않도록 정확한 문제 분석이 필요하다고 봄

신고공유스크랩
9

노숙굴이 뭔가 했더니 로스쿨이군요..? 새로운 단어를 배워 갑니다

22.06.18. 17:30
profile image
2
에코파시스트
갠적으로 그래서 잼의 예비시험 공약도 비슷한 맥락으로 맘에 안들었음. 이 제도를 고칠 생각이 이전 제도로 회귀하자는 생각보다 먼저 들었으면 함... 내생각엔 예비시험제도는 야! 니네 시발 로스쿨 싫어하니까 이거 줄게! 됐지! 하는걸로보임 본질적 문제 해결 이상으로
22.06.18. 17:43
1
알렉산드르_뷰코크
근데 로스쿨제도는 어느 나라나 다 난점이 있어요
법조전문직이라는 어느정도 보장된 길?을 가기위한 길이니까요.

문제는 말씀하신 것처럼 로스쿨 제도의 취지. 각계의 전문성을 가진 계층이 법조인력으로 상대적으로 쉽게 양성될 수 있게 하는 것.
이것을 현실화 못 시키는 문제가 너무 크다는 거죠.

맨 윗줄에 적은 것처럼 변호사라는 계층이 가지는 메리트를 좀 줄이지 않으면 절대로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대안은
1. 말씀하신 것처럼 합격률 조정. 더 높은 확률로, 더 많은 수를 뽑아야 합니다.
2. 변호사라는 법조전문직이 가지는 메리트를 줄일 수 있도록 견제하는 것.
저번에도 몇번 글을 쓰고 칼럼게시판에도 썼지만, 타 법조전문직의 파워를 올려서 변호사가 가지는 메리트를 줄여야 합니다.

이 두 가지라고 생각해요.


p.s 오히려 야간로스쿨 제도가 없는 지금, 예비시험 제도를 늘린건 잘한 방식이라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예비시험제도건 로스쿨제도건 선발 방식 자체를 변화시키는 건 전혀 답이 못된다고 보지만요.
그나마 잘한 일이랄까요.
22.06.18. 17:56
profile image
1
에코파시스트
예비시험제도가 가져올 법학 학습 수요를 어찌 감당할 것인지만 명확하게 해주면 좋겠음... 아무래도 메가로스쿨 메가로이어스만 배불리지 않으려면? 엥 그거 다 독학 아니냐? 라고 퉁칠 양은 아니니까
22.06.18. 18:23
1
알렉산드르_뷰코크
몰랐는데 심지어 로스쿨 다니는 지인들도 메가로스쿨 합격의법학원 강의 듣는 거 보고... 한국에서 사교육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은 없다는 확신만 강하게 들었습니다. ㅋㅋㅋㅋ
22.06.18. 18:43
1
한국에선 어떤 제도를 도입하던간에 결국 평가라는 부분이 크게 걸릴거라고 봅니다. 제가 한국이든 타국이든 로스클 제도가 어떻게 굴러가지는 잘 모르겠으나 과연 변시 같은 변별력 있는 시험 대신에 다른 방법으로 변호사 자격을 준다고 하면 어떤 말이 나올지 잘 모르겠어요.
22.06.18. 18:32
댓글 등록
취소 댓글 등록

cmt alert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삭제하시겠습니까?

목록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